-
- 남북관계론 Relations between the South & North Korea)
- 이 과목에서는 남북한간의 갈등과 협력을 추동해온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한민족 공동체 회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남북한간의 제도, 문화, 이념, 통일정책 등 분야별 차이점을 설명하고 극복방안에 중점을 두고 강의를 진행한다.
-
- 북한 대남전략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Souh Korea)
- 북한 대남전략의 목적과 추진체계, 그리고 시기별 변천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들을 다룬다. 특히, 북한체제의 특수성과 연계하여 전략적 지속성과 변화라는 틀을 동원하여 진단, 설명한다.
-
- 국가전략론 Study of National Strategy)
- 강대국과 약소국가들의 국가생존 및 발전 전략을 비교분석하고 21세기 대한민국의 국가전략을 모색한다. 현장 경험을 가진 분야별 전략가들의 특강을 통해 전략적 마인드를 함양한다.
-
- 리더십과 위기관리 Leadership & Crisis Management)
- 리더십은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에 행사하는 영향력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위기관리에 요구되는 리더십 요인과 주요인물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한다.
-
- 정보실패·성공 사례연구 Study of Intelligence Success & Failure)
- 각국 정보기관의 정보수집, 분석, 공작활동의 성공 실패의 다양한 유형과 원인들을 소개한다. 특히, 정보활동 과정에서 정보실패를 유발하는 정보의 정치화, 상대방의 기만, 심리적 편견 등에 대해 연구하도록하여 학문적 탐구와 함께 업무 역량을 제고시키는데 주안을 두고 있다.
-
- 기업정보활동론 Competitor Intelligence Activity)
-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국가는 물론 기업도 생존과 발전을 위해 시장상황, 다른 기업의 동향 분석, 국제정세 분석 등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 또는 분석한다. 본 과목에서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 대기업들의 정보활동 실태와 기업의 이윤창출에 기여한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한다.
-
- 전략·경쟁 분석 Strategic & Competitive Analysis)
- 이 과목에서는 기업의 활동 과정에서 전략과 의사결정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와 정보는 반드시 분석으로 전환될 때 비로소 합리적인 정책결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SWOT, Blind Spot, Custmer분석 기법 등을 소개,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기업 정보분석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
- 정보수집·분석론 Intelligence Collection & Analysis)
- 정보수집과 분석은 정보순환(Intelligence Cycle)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인 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탐구가 요구된다. 본 과목에서는 출처별 수집수단, 분석 절차와 기법, 정보보고서 생산 등을 다룬다.
-
- 소셜 미디어와 소통 Social Media & Communication)
- 이 과목에서는 소셜 저널, 가상공간내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환경 변화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21세기 사회변동의 본질을 이해하고 대비하며 특히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탐구하고 이와 관련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윤리적 쟁점에 대해 연구한다.
-
- 비교정보론 Comparative Intelligence)
- 각국 정보기구의 특징, 활동 유형과 방식, 법집행 정보기관과 관계 등 변수를 고려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정보연구의 과학화를 진전시킨다.
-
- 이스라엘 안보·정보체계론 Israel’s Security & Intelligence System)
- 이스라엘의 국가건설이래 유지해온 안보체계를 탐구하고 독립과 국가 발전과정에서 정보공동체의 역할과 정보활동사례, 그리고 정보기구 등에 대해 연구한다.
-
- 미국정보공동체 연구 U.S. Intelligence Community)
- 미국 정보공동체 기원과 전개과정, 16개 정보 및 행정정보기관의 특성, 정보문화, 문민정보기관과 군정보기관간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탐구한다.
-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in Social Science)
- 이 과목에서는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본질과 목적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는 그와 같은 연구를 체계적으로 추구하는 데에 필수적인 절차와 기법을 학습한다. 주된 강의내용은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가능성과 한계, 설명과 예측을 위한 개념·모형·이론·가설 및 변수, 자료수집의 전략, 자료분석의 기법 등이다.
-
- 산업보안론 Study of Industrial Security)
- 기업활동을 위해 보호가치가 있는 인원, 문서, 기술등 산업기밀을 침해 또는 누설을 방지하는 데 목적을 두고 보호대상, 보안활동 원칙, 보안관리 체계, 기업윤리 등을 연구하여 기업보안 활동에 요구되는 전문인력을 교육한다.
-
- 윤리와 정보 Ethics & Intelligence)
- 국가정보, 비밀정보활동, 기업활동에서 윤리의식의 함양은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나아가 윤리는 조직이나 개인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생들로 하여금 윤리의식의 함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윤리와 조직의 발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한다.
-
- 한국의 정보활동사 History of Korean Intelligence)
- 연대기별로 한국 정보활동의 특성과 유형을 연구한다. 조선 시대 정보기관과 정보활동, 특히 임진왜란 전후 조선의 정보활동 양상을 조명한다. 이후 19세기말 근대 정보기관인 제국인문사, 그리고 6,25동란과 5.16혁명이후 탄생한 중앙정보부와 이후 정보기관의 변천사를 연구한다. 이와 함께 한국의회의 정보기관에 대한 통제 역할과 한계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 정책분석론 Policy Analysis)
- 공공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책이 어떻게 수립, 집행, 평가되는지를 이해하고, 다양한 정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분석 및 평가능력, 기법, 지식 등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
- 조직관리론 Organization Management)
- 조직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조직의 생산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관리기법 등을 습득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장차 조직사회의 적응능력을 배양시키고 나아가 관리자 혹은 행정가로서의 능력을 발휘할 지식을 습득시키는 데 교육의 목적이 있다.
-
- 재난관리성과평가론 Performance Evalu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 재난관리는 예방적 차원과 관리와 더불어 관리성과에 대한 주기적·지속적인 진단과 평가를 필요로 한다. 오늘날 정부에서는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들에 대한 재난관리평가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교과목은 일선 기관의 재난관리에 필요로 하는 성과지표의 구성 및 평가방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
- 사이버안보 정책과 법체계 Cyber security policy and law)
- 주요 사이버 안보 범죄유형을 해킹, 바이러스, 개인정보 침해 등으로 구분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과 규제 법규를 교육한다. 이를 위해 보호 전략, 유관기관간 협력, 위험관리 등 관련 정책과 함께, 정보통신기반보호법, 통신비밀보호법 등 관련 법률을 다룬다.
-
- 사이버사고 대응 관리 Management of cyber security incidents)
- 사이버 침해사고 즉,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메일 폭탄, 해킹, 컴퓨터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생긴 문제들의 원인을 살펴보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이버상 침해사고의 유형을 시스템, DB, 웹 등 분야로 나누어 접근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방화벽, DB 보안, 방화벽 등 다양한 보안 방안을 제시한다.
-
- 사이버 범죄론 Study of cyber crime)
- 사이버의 익명성, 시공간적 무제약성, 비대면성 등 특징으로 사이버 범죄가 급증하고 피해규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인터넷 인권침해, 사이버 모욕죄, 불법 정보 유통, 북한의 대남사이버 도발 등 범죄의 동향을 연구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
- 정보실패론 Study of intelligence failure)
- 본 과목에서는 기존의 국가(정보기관)뿐 아니라, UN, NGOs, 테러조직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정보실패 사례들의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들을 모색해본다. 이를 위해 개인적 차원의 편견과 지식의 부족, 조직적 차원의 소통부족과 정보의 정치화, 정보외적 차원의 거부와 부인등 방법을 연구한다.
-
- 공작·방첩활동론 Covert & Counter Intelligence)
- 이 과목에서는 공작과 방첩의 개념, 성공 실패사례, 목적과 유형, 탈냉전이후 변화양상을 연구한다. 특히 오늘날 외국정보기관과 기업의 정보수집활동이 증대됨에 따라 경제방첩 동향과 전망에 대해 중점 교육한다.
-
- 국제정치이론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 이 과목은 한반도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제정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기존의 국내외 국제정치학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현대국제정치의 기본구조와 역동성을 밝힌 다음에, 셋째, 이러한 현대국제정치의 역학관계를 우리들은 한반도에서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
- 미국외교정책결정 이해 Understanding Decision-Making Process in US Politics)
- 이 강좌에서는 미국식 민주주의가 정치제도와 정치과정을 통해 주요 이슈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검토한다. 본 강의는 미국정부와 정치, 이를 둘러싼 환경에 대해 연구하고 의회의 외교정책 특징을 여타국가와 비교론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교육한다.
-
- 포괄안보와 국민안전 Comprehensive Security & Public Safety)
- 본 과목은 안전보장 개념의 발전과정, 전통적 안보와 비전통적 안보의 개념과 구분, 포괄안보시대에 국민안전에 대한 국가의 책임, 국민안전과 민주주의 정치, 행정 등의 연구를 통하여 국민 안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 재난관리론 Study of Disaster Management)
- 재난의 개념, 학문적 의미, 재난이 삶에 미치는 영향, 재난의 예방, 단계별 복구 관리에 대한 이해를 다루고 대응계획과 대응 매뉴얼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자연재난관리 Natural Disaster Management)
- 풍수해, 폭우, 폭설, 태풍, 지진, 가뭄, 낙뢰, 황사 등 자연이 야기하는 재난의 특성과 관리 기법을 연구하고 국내/외 관리 시스템을 연구, 국내외실제 사례 분석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공공기관의 위기관리 전략 Strategy of Crisis Management in Public Organization)
- 공공조직의 위기관리 특성, 국가위기관리 시스템에 대한 이해 및 발전방향, 재난 현장 위기관리 시스템 및 관리 기법을 연구하고 현장 행동 매뉴얼 작성, 위기관리 사례의 성공 및 실패를 분석한다.
-
- 위기관리와 홍보전략 Crisis Management & P.R)
- 이 과목에서는 위기관리와 홍보의 관계, 평시 홍보 전략, 비상 홍보 시스템 구축, 언론의 특성, 대응 방법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
- 재난·스트레스 관리 Management of Disaster & Stress)
- 심리학, 재난과 사회심리, 스트레스 병리학, 관리방법, 상담방법, 국내외 사례 등을 다양하게 연구한다.
-
- 재난관리와 자원봉사 Disaster Management & Volunteer)
- 자원봉사의 개념, 의미, 역할 등을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서 자원봉사의 정체성과 발전방향, 재난안전관리에서 자원봉사의 역할과 기능, 국/외 자원봉사 활동 운영시스템 비교 연구한다.
-
-
기업재난 관리
Management of Corporate
Disaster) - 본 과목에서는 기업이 각종 재난으로부터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 또는 극복하여 기업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계획 수립 및 관리 절차, 실습을 통한 연습을 다룬다.
-
기업재난 관리
Management of Corporate
-
- 국가기반체계 관리 Management of State based System)
- 국가기반 시스템에 대한 이해, 국민안전에 미치는 영향, 전시 국가 주요시설과의 관계, 관련 법률과 규정, 국가기반체계 보호를 위한 재난관리 시스템과 관리방법을 학습하고 적용하여 발전시킨다.
-
- 인적 재난 관리 Management of Human Disaster)
- 화재(산불), 건물붕괴, 화학물질 유출사고, 환경오염, 인질, 시위, 파업, 태업 등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재난에 대하여 그 특성과 관리 기법을 학습하고 사례를 연구한다.
-
- 위기관리 훈련 Training of Crisis Management)
- 본 과목에서는 위기관리 조직 편성, 매뉴얼 작성, 위기상황 시나리오 작성, 사태목록 작성, 훈련 통제 방법을 이해시키고 위기 관리 유형별 훈련 모델에 의한 지휘소 훈련을 실시하여 실제 상황 발생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
재난관리 법규연구
Study of Disaster Management
Regulations) - 재난관련법의 해석과 재난관리를 위한 파생된 제도 및 체계 등을 연구하여 재난관리 전문가로서 법률적인 지식을 함양한다.
-
재난관리 법규연구
Study of Disaster Management
-
- 도시안전관리 연구 Study of Community Safety Management)
- 도시 공동체 및 자연재난을 대상 사고사례 중심으로 사고의 원인과 발생과정을 알고 사고방지에 필요한 관리론 및 솔루션 및 개량기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며 문제점을 발굴 및 개선방안에 대해 탐구한다.
-
- 기업리스크 연구 Study of Corporate Risk)
- 기업의 위험관리, 기업의 조직관리, 경영관리, 정보기술관리, 상표관리(브랜드 및 브랜드자산 관리) 등 다양한 위협에 대한 분석 및 관리 연구를 진행한다.
-
-
리더십과 위기관리
Leadership & Crisis Management)
* 외국유학생 대상 영어강의 - 리더십은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에 행사하는 영향력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위기관리에 요구되는 리더십 요인과 주요 인물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한다.
-
리더십과 위기관리
Leadership & Crisis Management)
-
- 국가안보와 테러 National Security & Terror)
- 테러역사, 개념, 유형 등에 대한 이해, 물리적 테러와 사이버 테러의 특성, 향후 전개 양상, 우리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테러의 유형을 분석하고, 북한으로부터 자행 가능성 있는 테러 형태, 테러 관련 법률, 대테러 작전 체계, 미래 테러 전개 양상을 탐구한다.
-
- 건설안전공학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 건설재해의 원인과 유형을 탐구하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들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건설 인력, 자재 운반, 기계 및 장비, 지반의 안정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공학적인 접근 방법을 다룬다.
-
- 구조물 안전과 진단 Construction safety inspection & diagnosis
- 대형 공공건물, 도로, 교량 등 각종 건축물에 대한 주기적인 현장조사 및 테스트 이론을 연구하고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과 위험요인의 탐지 기법을 교육한다. 또한, 신속하고 적절한 보수․보강 방법 및 조치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시설물의 안전유지 방안을 모색한다.
-
- 논문작성법 Theories of thesis method)
- 석,박사 과정을 통하여 융합안보 및 재난안전관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구비한 논문을 쓰기 위한 능력을 배양한다.